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랍에미리트, United Arab Emirates

by tostory1 2025. 2. 10.

아랍에미리트의 국기

1. 아랍에미리트의 위치

아랍에미리트(UAE)는 중동 지역에 위치한 나라로, 아라비아반도의 동쪽 끝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서쪽과 남쪽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오만과 국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북쪽으로는 페르시아만(아라비아만)에 접해 있으며, 이 해상을 통해 이란과 가까운 거리에 있습니다.

아랍에미리트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중동과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합니다. 특히, 두바이와 아부다비는 국제적인 항공 및 해운 중심지로 성장하여 세계 각국과의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국토는 사막 지형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기후는 고온건조한 아열대 사막성 기후입니다.

하지만 페르시아만 연안 지역에는 비교적 온화한 기후가 형성되며, 주요 도시들은 이 해안선을 따라 발전하였습니다.

이 나라는 7개의 토후국(에미리트)으로 이루어진 연방국가로, 수도는 아부다비입니다. 경제적으로는 석유와 천연가스 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금융, 무역 등 다양한 산업으로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며 국제적인 경제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 아랍에미리트의 기원 및 역사

아랍에미리트는 7개의 토후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부다비와 두바이 토후국이 첫번째, 두번째로 땅이 크다

아랍에미리트의 기원은 고대 부족 사회에서 시작됩니다. 이 지역은 수천 년 전부터 아라비아반도의 유목민과 어부들이 거주하던 곳으로, 오아시스 지역을 중심으로 정착촌이 형성하였습니다.

아랍에미리트 지역은 고대부터 무역의 중심지였습니다. 페르시아만을 통해 메소포타미아(현 이라크), 페르시아(현 이란), 인도, 동아프리카 등과 활발히 교류하며 향신료, 직물, 도자기 등을 거래했습니다. 7세기경 이슬람교가 전파되면서 아랍 문화와 이슬람 신앙이 뿌리를 내렸습니다.

16세기부터 유럽 열강(특히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이 페르시아만의 해상 무역을 장악하려 했습니다.

19세기 초, 영국은 이 지역을 "해적 해안(Pirate Coast)"이라 부르며 해적 활동을 단속하려 했고, 결국 1820년 영국과 아랍 부족들 간의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습니다.

이후 1853년 영국은 이 지역 부족들과 "영속적 해양 평화 조약(Perpetual Maritime Truce)"을 맺고, 이를 통해 외교 및 방위를 책임지는 보호국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이 지역을 "트루셜 오만(Trucial Oman)" 또는 "트루셜 스테이츠(Trucial States)"라고 불렀습니다.

1968년, 영국이 아랍만 보호령 철수를 발표하자, 기존의 부족 국가들은 새로운 연합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아부다비의 셰이크 자이드 빈 술탄 알 나흐얀(Sheikh Zayed bin Sultan Al Nahyan)과 두바이의 셰이크 라시드 빈 사이드 알 막툼(Sheikh Rashid bin Saeed Al Maktoum)이 주도하여 주변 토후국들과 연방 결성을 논의했습니다.

1971년 12월 2일, 아부다비, 두바이, 샤르자, 아지만, 움알쿠웨인, 푸자이라 등 6개 토후국이 연합하여 "아랍에미리트"라는 새로운 국가를 수립했습니다.

이듬해 1972년 2월, 7번째 토후국인 라스알카이마가 합류하면서 현재의 아랍에미리트가 완성되었습니다.

(카타르와 바레인도 아랍에미리트에 포함되어 독립하기로 예정되었으나, 따로 독립하였다.)

셰이크 자이드 빈 술탄 알 나흐얀은 초대 대통령이 되어 국가의 발전을 이끌었고,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경제와 사회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오늘날 아랍에미리트는 중동에서 가장 부유하고 발전한 국가 중 하나로 성장하였으며, 석유뿐만 아니라 금융, 무역, 관광, 기술 산업을 통해 국제적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3. 아랍에미리트의 정치

아랍에미리트(UAE)는 7개의 토후국(에미리트)으로 이루어진 연방 국가로, 국가의 최고 지도자는 대통령입니다.

대통령은 각 토후국의 지도자들(토후)로 구성된 최고평의회에서 선출되며, 일반적으로 아부다비의 지도자가 이 직책을 맡아 왔습니다.

(토후국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아부다비의 토후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정부 체제는 연방제와 군주제가 결합된 형태로, 각 토후국은 자치권을 가지며 자체적인 법과 행정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하지만 외교, 국방, 경제 정책 등 주요 국정 운영은 연방 정부가 담당합니다.

입법부 역할을 하는 ‘연방국가평의회(FNC)’가 존재하지만, 법률 제정 권한은 제한적이며, 주요 정책 결정은 대통령과 최고평의회가 주도합니다. 실질적인 권력은 각 토후국의 군주들에게 집중되어 있으며, 정당 활동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만수르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알나얀 왕가의 왕족으로 태어났으며 현 아랍에미리트 왕의 동생이다.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팀인 맨체스터 시티 FC의 구단주이다.)

4. 아랍에미리트의 성비

아랍에미리트(UAE)의 성비는 세계적으로도 특이한 편입니다.

남성 인구가 여성보다 훨씬 많으며, 이는 경제 구조와 노동 시장의 특성 때문입니다.

UAE는 외국인 노동자의 비율이 매우 높은 국가로,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남성 노동자가 대거 유입되면서 성비 불균형이 심화되었습니다. 특히, 남성의 비율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3년 UAE 전체 인구는 약 950만 명이며, 이 중 남성이 약 70%, 여성이 30%를 차지합니다,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이상이 많습니다.)

이러한 성비 차이는 주로 20~50대 연령대에서 두드러지며, 내국인보다 외국인 사이에서 더 큰 차이를 보입니다.

부르즈 할리파 (두바이, 높이 828 m)